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름다운 우리말] 번역과 번안

노벨문학상을 탄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를 데보라 스미스가 문학가 사이에 매우 인기가 높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자신의 작품을 번역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공공연한 희망도 있습니다. 하지만 반면에 데보라 스미스가 번역한 작품을 두고 오역 논쟁도 끊임없이 벌어졌습니다. 제 문화 관련 수업 시간 중에 번역과 문화를 발표한 학생들도 채식주의자 번역에 오역이 있음을 지적하였습니다. 제가 보아도 번역에는 틀린 부분이 나타납니다. 의도적이었을까요? 아니면 한국어 실력에서 온 문제일까요?   번역은 오역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오역이 언어적 차이에 의한 것인지, 문화적 차이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언어 실력에 의한 것인지에 따라 결론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단 오역에서 언어 실력에 의한 문제는 논외로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어로 내용은 정확하게 알았다고 해도 원저자가 전하고 싶은 내용을 전하기에는 다른 번역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의역이라고 할 수도 있고, 의도적인 오역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문화적인 오역도 마찬가지입니다. 문화적인 내용이 지나치게 생경하거나 공감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문화를 달리 번역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됩니다. 물론 언어나 문화 번역 시에 주석이나 설명을 다는 방법도 있습니다.   직접적인 번역에서 가장 멀어진 것을 우리는 번안이라고 합니다. 소설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원래의 내용과 전체적인 스토리나 소재, 대사 등은 비슷한데 등장인물이나 장소 등은 독자들이 있는 곳으로 변경되는 경우입니다. 예전에 저작권 문제가 엄밀하지 않던 시절에는 원작자의 허락 없이 번안 작품을 만드는 일도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몰랐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다른 나라의 유명한 작품이어서 놀란 적이 있습니다. 노래라면 원작자를 안 밝히는 것은 표절이겠지만 소설의 경우에는 그 기준도 애매한 측면이 있습니다. 스토리를 몰래 차용한 소설이나 영화 등은 여기저기에서 보입니다. 번안과 차용의 경계가 모호합니다.   ‘찬바람이 싸늘하게’로 시작하는 차중락의 ‘낙엽 따라 가버린 사랑’이라는 노래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노래를 번안하여 부른 것입니다. 원래 노래와 가사의 내용이 전혀 다릅니다. 엘비스 프레슬리의 노래 가사도 매우 좋습니다. 박효신이 부른 ‘눈의 꽃’은 일본 노래를 리메이크한 노래입니다. 가사가 거의 같다는 점에서 번안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원곡을 부른 나카시마미카도 독특한 분위기로 노래를 부릅니다. 일본 노래 제목도 유키노 하나 즉, 눈의 꽃이라는 점에서 제목까지 같게 한 노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눈의 꽃이라는 제목은 그 제목만 봐도 일본어의 형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말이었다면 눈꽃이라고 해야 합니다. 최초의 신소설인 이인직의 ‘혈의 누’도 일본어식 표현입니다. 당연히 우리말로는 피눈물입니다.   번안 소설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아마도 이수일과 심순애라는 신파극으로 유명한 조중환의 ‘장한몽(長恨夢)’일 겁니다. 이 소설은 일본의 ‘금색야차(金色夜叉)’를 번안한 것입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일본 작품 역시 원래는 영국의 작품을 일본에서 번안한 것이라는 점입니다. 번안을 번안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번안을 하면 문화와 배경, 등장인물 등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흥미롭습니다. 어찌 보면 문화 번역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번역과 번안은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만, 문화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줍니다. 직역을 주로 하는 경우가 있고, 의역을 주로 하는 경우가 있고, 스토리만 남기는 경우가 있는 겁니다. 번역 속에서 문화의 문제를 깊게 고민해 보아야 할 겁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번역과 번안 번역과 번안 번안 작품 번안 소설

2024-11-1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